공부/python + a

주피터 노트북 환경설정 - 시작 폴더 변경 방법

세안_ 2022. 3. 6. 21:11

간단히 언급하자면, 주피터 노트북을 켰을 때 홈 화면의 시작 폴더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만약 세팅하지 않았다면 C:/User/유저명 으로 세팅이 되어있을 건데, 이걸 원하는 폴더로 변경하는 것이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바쁜 사람은 굵은 글씨 위주로 읽자.

1. 주피터 노트북 환경 설정 파일 생성
2. 1번에서 생성한 파일을 수정
3. 주피터 노트북 속성 수정


1. 주피터 노트북 환경 설정 파일을 생성

먼저 powershell을 실행시킨 후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한다.

jupyter notebook --generate-config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C:\Users\sparkle\.jupyter에 jupyter_notebook_config.py라는 파일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유저명이 다른 경우 굵은 글자로 표기된 부분이 물론 본인이 설정한 유저명으로 나오니 유의..


2. 1번에서 생성한 파일을 수정

1번에서 생성한 파일을 우클릭 후 윈도우 기준 h버튼을 눌러 연결 프로그램 화면을 띄우자.

 

추가앱 글씨를 누른 후 메모장을 눌러서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 수 있도록 하자.

물론 py 확장자를 열 수 있는 다른 개발환경이 있는 경우 그걸로 열어도 된다.(노트패드나, 파이참 등등)

파일을 열고 c.NotebookApp.notebook_dir 을 검색한다.

그러면 이런 1줄이 보일건데, 해당 라인 앞에는 #이 붙어있을 것이다.

#은 주석처리이므로 그걸 삭제하여 해당 코드를 작동하도록 만들고,

작은 따옴표 안에 본인이 원하는 파일의 위치를 넣어준다.

단, 파일 위치를 넣을 때 C:\Users\유저명\Desktop 이런 식으로 넣지 말고, \를 /로 바꿔준 뒤 넣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문법 오류로 인해 작동하지 않고, 

unicodeescape' codec can't decode bytes in position 2-3라는 오류가 뜨게 될 것이다.

이는 유니코드 에러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를 /로 바꾸라는 것이다.


3. 주피터 노트북 속성 수정

마지막으로, 주피터 노트북 파일을 찾아 속성을 수정해야한다.

시작 화면에서 jupyter를 쳐서 해당 파일의 위치까지 접근한다.

여기서 파일 위치 열기를 눌러서 해당 파일의 위치에 접근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파일들이 보일건데 여기서 주피터 노트북 파일을 우클릭하여 속성을 연다.

속성 화면을 보면 대상과 시작 위치가 있는데,
대상에는 "%USERPROFILE%"이, 시작 위치에는 %HOMEPATH%가 보일 것이다.
이것들을 삭제한다.

삭제한 후 주피터 노트북을 다시 실행시키면

정상적으로 본인이 설정한 폴더로 시작될 것이다.


대략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2가지 정도가 있다.

1. #을 안지워서 주석처리가 해제가 안되었거나

2. \을 /로 바꾸지 않아 유니코드 오류가 나는 경우다.

1번 문제의 경우 시작 폴더의 위치가 입력되지 않아 jupyter 노트북을 작동시키면 바탕화면 위치에서 시작할 것이며,

2번 문제일 경우 폴더에 접근해도 기존 파일이 보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이 두가지 경우를 잘 처리하면 문제없이 설정한 위치에서 시작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