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서버] 최후통첩과 타이탄 X를 회생시키기공부/오늘의 삽질 2020. 10. 29. 18:23
엎친데 덮친 격으로 집주인이 언제까지 있을꺼냐는 사실상 최후통첩이 떨어졌기 때문에, 삽질을 하더라도 일단 연구실에 있는 TITAN X를 살려보기로 결정했다. 그래서 어차피 물어봤자 모르는 우리 연구실은 제끼고... (랩장에게 물어봐도 서버 그래픽 카드가 뭐가 있는지 모르더라. 답을 못하니까 모르는거라고 하자 ^^...) 전공자도 모르고, 현업자인 지인도 모르고... 이쯤되면 내 인맥이 병신이가를 심각하게 고민할 쯤 컴퓨더 덕후들이 모인(?) 퀘이사존에 질문을 던졌더니 어떤 식으로 문제를 해결해야할지 알려주더라. 문제: 서버에서 파이토치 1.6이 안돌아감, 사유를 모름 해결방안 : 파이토치 1.6에 필요한 최소 쿠다버전 찾기 -> 해당 버전에 필요한 최소 드라이버 버전 찾기 ->찾은 드라이버 버전에 맞는 ..
-
[서버] GCP가 할당량을 안해준 사람공부/오늘의 삽질 2020. 10. 27. 20:14
본인이 쓰려고 하는 GPU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GCP -> IAM 및 관리자를 클릭해보면 하단 부분에 할당량이라고 있다. 이놈을 클릭하면 내가 지금 가지고 있는 할당량, 그리고 사용하고 있는 사용량이 주르륵 뜨게 되는데, 여기서 테이블 필터링란에 본인이 원하는 그래픽 카드를 입력해주면 된다. 나 같은 경우는 dafalut로 열려있는 V100을 빼고는 전부 잠겨있는데, 검색을 해보면 이렇게 나온다. 이번에는 V100을 확인해보자. 저놈의 한도를 풀려면, 할당량에서 해당 지역을 클릭하고, 그 지역과 관련된 사유를 구글에게 보내서 승인이 되어야만 답변이 온다. 근데 나는 왜 답변 안옴..? 그래서 디폴트로 설정된 저놈의 V100을 눈물을 흘리며 써보려고 하자... 이런 메세지가 뜬다. 그러면 아까 표..
-
[서버] 가상 서버 구현의 시작, 할당량에 대한 깊은 빡침에 관하여.공부/오늘의 삽질 2020. 10. 26. 17:11
들어가기 전 이 글은 딥러닝이 뭔지 잘 알지도 못하는 석사생이 자신의 무언가를 짜내어 해보자는 악바리로 작성되는 글입니다. 잘못된 사실 서술, 지적 등은 확인하나 비난은 일절 받지 않습니다. 0. 왜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을 선정했는가? 구글이 제공하는 딥러닝 관련 프로젝트와 관련된 서비스는 크게 2개가 있다. 하나는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다른 하나는 구글 코랩(풀 네임은 Google Colaboratory)이라고 불린다. 이 2개의 구글 서비스는 우선적으로 어느정도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되, 일정량이 넘으면 결제해서 그 결제량을 소모하는 방향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단, 내가 진행하는 딥러닝 코드는 운좋게도 GPU 중 V100이 달린 곳에서 잠깐 돌려볼 수 있었는데 약 학습에 이틀 정도가 걸렸다. (도..
-
[서버]Google cloud platform을 이용한 딥러닝 서버 구현을 시작하며공부/오늘의 삽질 2020. 10. 26. 16:37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논문 작업 중 어느정도 베이스가 되는 코드 구현에 성공했고, 이후 captioning 부분을 분석하고 있다. 단, 이런 쪽으로 알려주는 사람도 없고 도와주는 사람도 1도 없는 대학원생인지라... 스트레스만 받고 있다. 연구실도 말만 데이터 관련이고... 컨셉만 잡고 입만 털어대는 연구실이라.. 다음번에 다루겠지만, 서로의 연구에 자극과 도움이 되는 공간과 사람을 만난다는 것은 그것만으로도 참 좋은 운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대부분의 국가 프로젝트를 따낸 후 본인의 사리사욕에 채우시는 교수들이 많은 이상, 그런 곳은 너무나도 드물다. 이 이야기는 우선 제쳐놓고, 해당 포스트와 이후 이어지는 [서버] 관련 포스트는 논문 작성을 위한 서버 구현에 대해 서술해보려고 한다. 참고한 포스트와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