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오늘의 삽질
-
크롬에서 pdf 파일이 열리지 않고 다운로드만 되는 경우공부/오늘의 삽질 2023. 11. 7. 21:16
결론적으로 말하면 한컴의 pdf문제일 가능성이 80%다. 한pdf는 주요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해놓으면 레지스트리까지 변경해버려서 나중에 다른 앱을 사용할 수 없게 만든다. 누가 코딩했는지 참...이것도 요새 핫한 다크 패턴 아닐까 싶다 ㅋㅋㅋㅋㅋㅋㅋㅋ 해결 방법 1. 시작에서 "레지스트리 편집기 검색" 2.다음과 같은 경로로 이동 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pdf 3. .pdf 경로로 이동한 후 content Type을 연다. 4. 해당 파일에서 값 데이터를 "application/pdf"로 변경 5. 재부팅 웬만하면 한pdf 2020 이후론 복사기능도 있고 그래서 괜찮다 싶었는데 이런 경우가 있을 줄은 몰랐다. 상황에 따라 골라 써야될 것 같다..
-
티스토리 블로그 odyssey 스킨 후기공부/오늘의 삽질 2022. 3. 6. 20:37
사실 상식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할 때 기본 스킨들을 우선 쓰게 된다. 그 중에서도 odyssey 스킨이 가장 깔끔하고 괜찮아보여서 써봤더니 나에게는 도저히 넘어갈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바로 다른 스킨에는 있는 관리자 버튼이 없던 것. 조그만 블로그든 큰 블로그든 간에 그 블로그에 가장 많이 방문하고 사용하게 될 것은 블로그의 관리자일텐데 관리자를 위한 버튼을 메인 페이지에서 보이지 않게 해둔 건 좀 그렇지 않나? 그런 걸 보면 오디세이 스킨은 상품을 판매하거나, 한번 올려놓으면 변경이 거의 없을 기업용 소개페이지에나 적합하지 않을까 싶은 스킨이었다. 결국 한 3분간 눌러보다가 whatever 스킨으로 넘어왔고, 이걸 종종 쓰지 않을까 싶다.
-
행렬과 x,y 간단하게 외우기공부/오늘의 삽질 2021. 10. 8. 01:23
읽는 방식 3행 2열은 차원을 쓰는 방식 (3,2) 차원은 이렇게 쓰고 실제 데이터 [ [0, 1], [2 ,3], [4, 5] ] numpy를 기준으로 이렇게 표기하는데 좌표계 기준 행이 x고 열이 y이라고 한다. 행은 x축, 열은 y축이다. 간단하게 외우는 방법 고개를 좌측으로 90도 기울이면 위의 데이터는 이런식으로 그려진다. x축(가로)에 원소가 3개, y축(세로)에 2개이므로, 3행(x) 2열(y)로 읽으면 된다. ndarrays.shape로도 (3,2)로 출력이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행벡터는 [[0], [1], [2], ... ] 형태의 데이터를 말하며, 열벡터는 [0,1,2,3,4] 형태인 것을 알 수 있다.
-
[통신] gRPC call 실행 중 gradlew installDist 명령어 오류공부/오늘의 삽질 2021. 5. 31. 17:50
한 줄 결론 : tool. jar 설치, JDK(java development kit) 설치 여부를 꼭 확인하고, 환경변수를 꼭 설정하자. 0.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gRPC Example을 실행하기 위해 해당 링크를 들어갔다. https://grpc.io/docs/platforms/android/java/quickstart/ Quick start This guide gets you started with gRPC in Android Java with a simple working example. grpc.io 1. 서버 컴파일에 해당하는 gradlew installDist 명령어부터 오류가 뜸. 자세한 오류는 캡쳐해두지 못했지만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이라는 이유고 뜬..
-
mat1 dim 1 must match mat2 dim 0 원인공부/오늘의 삽질 2021. 1. 22. 21:07
발생 이유 : 데이터가 레이어를 통과 후 shape가 변화하는데 변화된 데이터의 차원과 전결합층에서 쓰는 linear의 차원이 서로 다르면 발생함 예시 #합성곱층 self.layer1 = nn.Sequential( torch.nn.Conv2d(1, 32, kernel_size=3, stride=1, padding=1), torch.nn.ReLU(), torch.nn.MaxPool2d(kernel_size=2)) # input size = 128x128 # input shape = (batch_size, 1(채널),128(h),128(w)) # conv = (batch_size,32,128,128) # pool = (batch_size,32,64,64) # 두번째층 self.layer2 = torch.nn..
-
만든 서버에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나서 할 일(로컬과 연결될시)공부/오늘의 삽질 2020. 12. 16. 21:41
0. 윈도우 pycharm을 기준으로 함 1. 환경 변수 설정(cuda 관련) 방법 : 돌리고자 하는 python 파일 클릭->run -> edit configuration -> 환경 변수 설정 2. 서버에 로컬 파일 업로드 Tools -> deplotment -> configuration -> mappings -> deployment path 해당 위치에 폴더 설정 및 연결 후 업로딩, 오토 업데이트 설정(필요시) 오늘도 왜 안되지를 극복하기 위한 싸움...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