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유리수와 순환소수수학과 알고리즘/중등 수학 2024. 11. 5. 13:53
들어가며오늘 해볼 내용은 순환소수와 유리수의 관계입니다. 순환소수의 개념 이해하기순환소수란 순환하는 소수, 즉 소수 부분이 무한히 반복되는 숫자 패턴을 가진 소수를 말합니다.예를 들어, $0.333....$ 또는 $1.666....$처럼 특정한 숫자가 무한히 반복되는 형태를 순환소수라고 합니다. 이러한 순환소수들은 순환마크를 사용해서 나타낼 수 있는데,예를 들어, $0.333...$는 $0.\dot{3}$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유리수와 순환소수의 관계유리수는 두 정수의 비율로 표현될 수 있는 수를 말하고, 모든 유리수는 유한 소수 또는 순환 소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즉, 유리수는 유한한 자릿수로 끝나거나, 무한히 반복되는 패턴을 가지는 소수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이러한 소수 중 무한히 반복되는 패..
-
정수와 유리수(3)수학과 알고리즘/중등 수학 2024. 11. 4. 10:16
들어가며안녕하세요, 파이썬을 사용해 정수와 유리수의 사칙 연산을 설명하고자 합니다.먼저 정수와 유리수의 개념을 복습해보고, 이를 이용해서 파이썬 코드를 작성해보고자 합니다.정수와 유리수의 개념- 정수: 음의 정수, 0, 양의 정수를 모두 포함하는 수입니다. 예: -3, 0, 5- 유리수: 두 정수의 비율로 표현할 수 있는 수입니다. 예: 1/2, -3/4, 5 (5는 5/1로 표현 가능)사칙 연산의 개념사칙 연산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말합니다.파이썬에서는 이러한 사칙연산을 자동으로 계산해주기 때문에 정수와 유리수의 연산도 어렵지 않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다만, 분수와 같은 경우 다소 햇갈릴 수 있으니 이 점은 주의해야겠습니다.코드#정수의 덧셈과 뺄셈int\_a = 7 int\_b = -3 ..
-
정수와 유리수(2)수학과 알고리즘/중등 수학 2024. 11. 2. 19:22
들어가며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정수와 유리수에 대한 내용 중 정수와 유리수의 대소 관계를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오늘은 내용이 짧습니다!대소 관계 비교하기먼저, 숫자 간의 대소 관계를 비교해봅시다. 대소 관계를 비교하려면 두 숫자가 있을 때 어느 쪽이 더 큰지, 어느 쪽이 더 작은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2$와 $-3$ 중 어느 쪽이 더 큰지 생각해볼까요?만약 여러분이 $1/2$라고 생각하셨다면, 오늘 내용은 넘어가셔도 되겠습니다.파이썬으로 알아보기# 비교할 두 수를 정의number1 = -3 # 정수number2 = 1 / 2 # 유리수# 대소 관계를 비교if number1 > number2: print(f"{number1}은(는) {number2}보다 큽니다.")eli..
-
정수와 유리수(1)수학과 알고리즘/중등 수학 2024. 11. 1. 17:18
들어가며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새로운 개념인 정수와 유리수라는 새로운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고,해당 개념을 파이썬 프로그래밍으로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먼저, 정수와 유리수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정수정수란 음의 정수, 0, 양의 정수를 포함하는 수를 가리키는 말입니다.정수는 소수나 분수처럼 불완전한 형태가 아닌 완전한 수, 또는 명확하게 세어지는 수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일상 생활에서 물건의 개수를 세거나, 온도를 나타낼 때 쓰는 숫자들은 모두 정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그 중에서도, 양수는 우리가 무언가를 얻었을 때나, 여기에 있다(존재한다)라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라면,음수는 무언가를 잃었을 때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0은 아무것도 없는 상태를 나타냅니다.유리수유리수란 정수와 정수의 나눗셈..
-
티스토리 오블완 이벤트!일상의 기록 2024. 11. 1. 16:54
https://www.tistory.com/event/write-challenge-2024?t_src=tistory_notice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오늘 블로그 완료! 21일 동안 매일 블로그에 글 쓰고 글력을 키워보세요.www.tistory.com 21일동안 매일 블로그에 글을 쓰는 이벤트를 한다고 한다.기존에 했던 프로젝트가 있었는데 현생이 너무 바쁘다보니 아무것도 못했던지라... 이번에는 이런 강제성을 이용해서 좀 해보려고 한다. [프로젝트] 중등 수학 프로그래밍 구현프로젝트 시작일 : 2024-04-12목차 제작 : 2024-04-12 목차 완성상태 : 미완사용 언어 : python3, numpy과정세부과정목표완성 링크완성 일자수와 연산소인수분해소인수분해의 뜻을 알고, 자연수를 소인수endure..
-
t-검정의 종류와 각각의 차이점카테고리 없음 2024. 11. 1. 15:48
0 . t-검정의 종류t검정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제약이 없는 t-검정(일반 t검정)제약 있는 t-검정제약이 있는 t-검정과 제약이 없는 t-검정의 차이는 검정 대상이 되는 가설의 형태와 t-통계량의 해석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1. 제약이 없는 t-검정 (일반 t-검정)제약이 없는 t-검정은 주로 단일 모집단의 평균이 특정 값과 다른지 여부를 검정할 때 사용한다.예를 들어, 어떤 모집단의 평균이 0인지 아닌지를 검정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이때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귀무가설 (H0): $\mu = \mu_0$ (모집단 평균이 특정 값 $\mu_0$과 같음)대립가설 (H1): $\mu \neq \mu_0$ (모집단 평균이 특정 값 $\mu_0$과 다름)이때의 t-통계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수학과 알고리즘/중등 수학 2024. 5. 28. 11:41
들어가며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배웠던 소인수 분해를 이용해서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먼저, 최대공약수의 개념에 대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최대공약수(GCD)최대공약수는 두 수 또는 그 이상의 수에서 공통으로 나눌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의미합니다.공약수가 두 수 또는 그 이상의 수에서 공통으로 나눌 수 있는 수를 뜻하기 때문에,'최대'공약수는 그 중에서 가장 큰 수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ex) 12와 18의 최대공약수는 6인데, 이는 12와 18을 공통으로 나눌 수 있는 가장 큰 수는 6이기 때문입니다.최소공배수(LCM)최소공배수는 두 개 이상의 수의 배수들 중 공통으로 포함된 가장 작은 배수를 의미합니다.공배수는 두 개 이상의 배수들 중에서 공..
-
소인수분해수학과 알고리즘/중등 수학 2024. 5. 9. 16:21
들어가며안녕하세요. 소인수분해에 대한 개념과, 해당 개념을 코드로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먼저, 소인수분해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먼저, 85라는 숫자를 소인수분해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45 = 3 x 3 x 5 = 3^2 x 5보이는 것처럼, 45처럼 특정한 숫자 또는 식을, 다른 숫자들 또는 식의 곱셈으로 표현하는 방식을 인수분해라고 하며, 그 중에서도, 어떤 특정한 숫자를 소수인 인수의 곱셈으로 표현하여 숫자를 분해하는 방법을 소인수분해라고 합니다.소수그러면 소수가 뭔지 한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으로 약분되는 수입니다.1부터 10까지의 수 중에, 다음과 같은 수는 소수입니다.Prime number : 2,3,5,7반대로, 1부터 10까지 수 중 소수가 아닌 수는 ..